벧샬롬교회

SERMON
새벽말씀묵상

Home > 새벽말씀묵상 > 고린도후서 1장. 고난을 통해서 주시는 은혜

고린도후서 1장. 고난을 통해서 주시는 은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밴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 블로그 보내기

고린도후서 1장. 고난을 통해서 주시는 은혜

고린도후서 1장 / 김형익 목사 / 새벽말씀묵상 / 2012-09-12

말씀내용
1장. 고난이 주는 은혜 (찬 470, 474)

1. (고린도후서의 배경) 사도 바울이 쓴 어느 서신서보다도 그의 감정이 가장 깊이 배어있는 편지가 고린도후서다. 고린도전서를 쓴 후에 한동안의 시간을 보내면서 고린도를 방문하겠다는 본래의 계획과는 달리(고전 16:6~7) 사도가 갑작스럽게 잠깐 고린도를 방문하게 된 것은 고린도에 보냈던 디모데가 와서 전해준 소식 때문이었다(고전 16:10~11). 고린도교회가 우상숭배와 음행 뿐 아니라 거짓 교사들로 인해서 무너지고 있고, 사도 바울의 사도성 자체가 의심을 받고 있는 처지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두 번째 방문에서 사도는 인격에 깊은 상처를 받았다(2:1,4). 고린도 사람들이 그의 사도성과 인격에 대하여 거센 비난을 퍼부었기 때문이다. “왜 바울은 고난이 그렇게 많은가? 왜 그는 하나님의 인도함을 받는다고 하면서 임기응변으로 행동하는가? 왜 그의 설교는 힘이 없는가? 그의 재정적 투명성을 믿을 수 있는가?”와 같은 수많은 도전들이 퍼부어졌다. 사도는 돌아와서 다시 회개를 촉구하는 편지를 써서 디도의 편에 보냈다(2:4). 오늘날 잃어버려진 이 편지는 고린도사람들을 회개하게 하는 효과를 거두지만 다는 아니었다. 그래서 사도는 다시 고린도를 방문하기에 앞서 편지를 쓰게 되는데 그것이 고린도후서다. 고린도후서는 이런 정황에서 주후 55~56년경 에베소 사역을 마치고 마게도냐로 갔을 때 쓴 것으로 보인다.

2. 약함은 강함의 원천이고 고난은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의 도구다. 이것이 사도가 고린도후서 전체를 통해서 전하고 싶은 메시지였다. 왜 사도는 이렇게 고난을 많이 당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사도는 고난의 진정한 영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자신의 고난은 본질적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 얻는 고난이기에, ‘그리스도의 고난’이다(5). 이 고난은 그리스도와 사도를 하나로 연합해주는 고난이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고린도 사람들이 신앙 때문에 당하는 고난 역시 그들과 사도를 하나로 연합해주는 역할을 한다(6~7). 이런 고난에는 하나님의 위로가 넘친다. 그 위로는 또한 고난 중에 있는 다른 사람들을 위로하게 하는 능력이 된다(4,6). 그리스도인이 당하는 고난은 복음을 위해서 받는 적극적인 고난과 질병, 실패, 자녀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소극적인 고난이 있지만, 본질적으로 이 모든 고난은 성도의 영적 유익을 위한 것이다. 하나님의 풍성한 위로를 경험하게 되고(5) 오직 하나님만 의지하게 만드는 것이 유익이다(9). 이렇게 성도는 고난-죽음-부활의 사이클을 이 땅에서 경험하면서 살아간다(10). 그리고 고난은 위로를 그리고 위로는 감사를 가져온다(11).

3. 사도를 비난하는 이유 중 또 하나는 왜 사도가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는다고 하면서 고린도 방문 계획을 변경하였는가 하는 것이었다. 처음에 시간을 가지고 방문하겠다고 해놓고(고전 16:6~7) 갑작스럽게 방문을 했으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곧 다시 오겠다고 해놓고(고후 1:15~16) 다시 오지는 않고(1:23) 또 편지를 써서 보냈기 때문이다(2:4). 사도의 이런 태도는 거짓 교사들과 그들에 편승한 사람들에게 사도가 믿을 수 없는 이중적인 사람이라는 비난의 표적이 되었다. 그래서 사도는 이 문제를 설명할 필요를 느꼈다(1:12~2:4). 첫째로 이렇게 행동을 한 사도의 동기는 하나님의 거룩함과 진실함이었다(1:12). 그는 또한 세상의 지혜로 행하지 않고 하나님의 은혜로 행동했다고 말한다(1:12, 17~20). 사도는 이런 점에서 조금도 마음에 걸림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있게 마지막 날에 고린도사람들이 사도 자신을 자랑하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피력한다(14). 사도는 비록 이런 아픔과 오해와 비난이 있지만, 결국 우리를 견고하게 하시는 분은 하나님 자신이라는 것, 그분이 모두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견고케 하시며 기름을 부으신다는 것을 알고 있다(21). 또 그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주셨다(22). 비록 흔들림이 있지만 하나님은 당신의 택한 백성들을 이렇게 인도하신다는 확신이 있기에 사도는 이 화해의 노력을 계속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사도가 이렇게 계획을 변경한 이유는 오직 고린도 사람들을 위함이었다(23~24). 비록 사도의 진심은 수많은 오해를 받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도는 이 화해의 노력을 그치지 않는다.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견고케 하실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말이다.

4. 당신이 지금 고난 가운데 있는가? 이것이 하나님께서 당신의 영적 유익을 위해서 주시는 것이라는 사실을 놓치지 말라. 그리고 은혜를 구하라. 고난-죽음-부활의 사이클을 사는 은혜를 구하라. 죽은 자를 살리시는 하나님만 의뢰할 믿음을 구하라. 그리고 당신이 오해 받거나 비난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당신 자신의 모든 동기가 하나님의 거룩함과 진실함인지, 그리고 당신을 오해하고 비난하는 사람들을 위하는 마음이 있는지 살피라. 당신의 양심에 조금도 거짓이 없이 행하라.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를 견고케 하실 것임을 알고 화해의 노력을 기울이라.

5. “하나님 아버지, 저희 인생에 일어나는 고난이 저희와 교회의 유익을 위한 하나님의 은혜임을 알게 하시고 고난보다 더한 은혜를 경험하게 하옵소서. 또한 고난이 저희를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깊이 경험하게 할 뿐 아니라, 성도들을 위로하고 결속하게 하는 복된 경험을 더하옵소서. 어찌하든지 주께서 우리를 견고하게 하실 것을 바라며, 범사에 거룩함과 진실함으로 행하도록 도우시옵소서.”